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2

조선왕조 500년 - 건국 초기 왕위에 오른 이성계와 이들 신진세력은 철저하게 고려의 흔적을 지우기 시작한다. 첫 번째로 고려의 폐단이 되었던 불교를 배척하고 유교를 정치와 교육, 사회지도 이념으로 삼는다 이에 불교는 점차 쇠퇴하게 되고 유교의 이념은 빠르게 조선에 자리 잡게 된다. 이성계는 막내 왕자인 의안대군 방석을 왕세자로 삼았으나, 이에 불만을 가진 다섯 번째 왕자 이방원이 반기를 들며 제1차 왕자의 난을 일으킨다. 1398년 이방원은 상당수의 사병을 동원해 왕세자 방석과 7번째 왕자 방번 그리고 그들을 지지했던 일파를 살해한다. 결국 생존해있던 두 번째 왕자 이방과에게 왕세자 자리가 넘어갔고, 이방과는 정종으로써 왕위에 오른다. 한편, 제1차 왕자의 난에 불만을 품은 넷째 왕자 방간은 박포와 공모하여 제2차 왕자의 난을 일으킨.. 2021. 5. 12.
조선왕조 500년 - 조선의 건국 조선은 고려의 멸망과 동시에 탄생한 국가로써, 1392년부터 1910년에 이르기까지 500여 년간 한반도를 지배했던 국가이다. 고려의 의지를 물려받은 것이 아닌 옛 고조선의 의지를 이어받은 국가로써 현 대한민국의 탄생을 조선의 탄생으로부터 보기도 한다. 흔히 알려진 '한국사의 시작'이라는 뜻이 이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14세기 말, 복잡한 정세 속에 흔들림 없던 명나라와 고려 간의 관계는 공민왕 왕권서부터 서서히 균열이 생기기 시작한다. 서서히 가던 균열은 어느 사건으로 터져버리고 마는데 바로, 우왕이 집권하던 시기에 이인임과 김의가 명나라 사신 채빈을 살해하는 사건이 발생한다. 1374년엔 친명정책을 펼치던 공민왕마저 시해되는 사건이 발생하며 명나라로부터 경계를 받기 시작한다 이미 14세기 후반들어서.. 2021. 5. 10.
재무 상태 파악을 위한 비율 분석(재무제표 분석) 2. 3. 성장성 비율 성장성 비율은 외형 성장을 측정하는 비율로 계정과목이 전년도에 비해 어느정도 증가했는지를 볼 때 사용한다. 전기와 비교하여 당기에 몇% 성장했는지 나타내는 비율이다. 총자산증가율 = 기초총자산/기말총자산-기초총자산 매출액증가율 = 전기매출액/당기매출액-전기매출액 영업이익증가율 = 전기영업이익/당기영업이익-전기영업이익 4. 안정성 비율 특정 시점의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의 수치를 이용하여 재무 구조의 안정성을 파악 할 수 있다. 투자의사 결정 과정에서 챙겨봐야할 사항이다. 부채비율 = 자본/부채, 자본대비 부채가 어느정도인지 보여주며 기업의 안정성을 판단하는 대표적인 지표가 된다. 부채비율이 높다면 선수금이나 초과청구공사가 일시적으로 늘어난 것인지 차입금이 감당 안되는 상황인지 파악하는대.. 2021. 4. 28.
재무 상태 파악을 위한 비율 분석(재무제표 분석) 1. 재무비율의 많은 부분은 보고서를 작성하는 작성자가 재무제표에서 숫자를 뽑아 정해진 공식에 의해 계산한 것입니다. 즉 여러 해의 재무제표를 분석해 최근 추이를 살펴 보기 위한 것입니다. 기업이 해마다 성장하고 있는지 부진한지, 산업군에서 경쟁력을 가졌는지를 분석하다 보면 내가 알고자 하는 대상 기업에 대해서 이해할 수 있게 됩니다. 재무비율을 볼때에는 재무제표도 같이 참고하는 것이 좋다. 재무비율에는 시장가치비율, 수익성 비율 , 성장성 비율, 안정성 비율, 유동성 비율이 있다. 시장가치 비율에는 다음과 같이 볼 수 있다. 1.시장가치 비율(PER, Price Earning Ratio) 주가 수익비율 PER : 주가(P)를 주당 이익(EPS)으로 나눈 것으로 P/E 비율이라고도 한다. 주가가 주당이익의 몇.. 2021. 4. 23.